7장 177p부터 시작하는 내용임.
LinearLayout
선형으로 배치
orientation값에 따라 horizontal 또는 vertical 방향으로 요소들을 나열.
layout_weight로 여백을 어떻게 체울 것인지 설정 가능
중첩 가능
요소의 gravity 속성을 활용하면 그 요소의 내용을 어떻게 정렬할 것인지 정할 수 있으며
layout_gravity속성을 활용하면 그 요소를 어떻게 정렬할 것인지 정할 수 있다.
RelativeLayout
상대 위치로 배치
어떤 뷰의 왼쪽 혹은 오른쪽에 요소를 배치하도록 하는 레이아웃이다.
FrameLayout
겹쳐서 배치
똑같은 위치에 여러 뷰를 겹쳐서 놓고 어떤 순간에 하나의 뷰만 출력할 때 사용한다.
그래서 대부분 뷰의 표시 여부를 설정하는 visibility 속성을 함께 사용한다.
GridLayout
표 형태로 배치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 화면을 만드는 레이아웃 클래스이다.
orientation으로 방향을 결정하고 rowCount 또는 columnCount값에 따라 한 줄에 몇 개의 뷰를 나열할 것인지 결정한다.
span을 활용하여 여러 칸을 병합할 수도 있다.
ConstraintLayout
계층 구조로 배치한다.
레이아웃 편집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ppt 만들듯이 구성하는 레이아웃이다.
'📁App Developing > Kotlin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틀 바 커스터마이징 (0) | 2022.09.13 |
---|---|
ListView (0) | 2022.09.04 |
스탑워치 메모 (0) | 2022.07.25 |
Bmi 앱 메모 (0) | 2022.07.24 |
kotlin 기초 문법 (0) | 2022.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