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위치2

3. 루핑과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루핑이란?] 브리지나 스위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어떤 프래임이 무한히 네트워크를 도는 현상을 루핑이라고 한다. 이런 현상은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가는 경로가 두 개 이상인 경우 발생할 수 있다. 1번 경로로 건너간 프레임이 2번 경로로 돌아오고 다시 1번경로로 가는 식으로 무한히 프레임이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것이다. 루핑을 막기 위해선 임의의 호스트에서 다른 임의의 호스트로 가는 경로가 하나만 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된다. 하지만 이것이 여간 복잡하고 민감한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루핑을 방지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를 Spanning Tree Algorithm이라고 한다. [스패닝 트리에 대한 이해]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은 루핑을 막아주는 프로토콜이다. STP(Spanni.. 2022. 2. 2.
2. 네트워크 장비(랜카드, 허브, 브리지, 스위치) [랜카드란?] 네트워크를 위해 필요한 부품으로, 랜카드는 기기마다 종류가 다르며 속도별로도 구분할 수 있다. [허브란?] 허브는 Multiport Repeater이다. 즉 포트가 여러개인, 들어온 신호를 다시 내보내주는 장치이다. 신호가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에 신호를 전달한다. CSMA/CD의 적용을 받기에 Collision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허브로 연결된 PC들은 하나의 Broadcast domain은 물론이요, 하나의 Collision domain 안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러 PC를 네트워크에 연결시켜준다는 기능이 있지만, PC가 연결될수록 데이터 전송속도가 낮아지며 Collision domain이 점점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브리지란?] 브리지는 허브보다 한 수 높은 장.. 2022.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