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공부6

7.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 [AP란] AP(Access Point)란 유선과 무선의 경계에 있는 장치로 한쪽은 유선과, 한쪽은 무선과 통신한다. CSMA/CA라는, 유선보단 조금 더 조심스러운 방식을 사용해서 통신한다. [무선랜의 두가지 구성모드] 1. Ad Hoc 모드 AP없이 PC끼리 무선 랜카드만으로 통신한다. 임시 방편같은 느낌이며 요즘은 거의 안쓴다. 2. Infrastructure 모드 AP를 이용한 통신이다. PC는 AP에게, AP는 다른 PC에게 데이터를 전달해준다.(AP가 허브처럼 작동하는 느낌) A. BSS(Basic Service Set) AP한대로 무선랜을 구성하는 방식이며 일반 가정 등에서 사용한다. B. ESS(Extended Service Set) AP여러대로 무선랜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주파수 간섭을 .. 2022. 2. 2.
6. 서브넷 마스크와 VLAN [서브넷 마스크에 대해] 큰 네트워크를 원하는 대로 나누어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서브넷 마스크이다. 기존에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어져있는 IP주소에서, 호스트부분의 일부를 네트워크부분처럼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세분화하는 방식이다. 세브넷 마스크도 엄연히 하나의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서브넷 마스크간의 통신은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서브넷 마스크 내에서 할당 가능한 PC의 수는 2^호스트자리수 - 2 개이다. 두개의 주소를 빼주어야하는 이유는 00.00.00.00과 FF.FF.FF.FF는 네트워크주소, 브로드캐스트주소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VLAN 기능이란?] Virtual LAN기능은 네트워크별로 스위치를 두고 각 스위치를 라우터의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연결하는 방식의 귀찮음을 없애.. 2022. 2. 2.
5. IP(IPv4, IPv6) [IP란?] 인터넷상에서 나만을 위한 주소. 인터넷을 쓰기위해서는 나만의 유일한 IP가 필요하며, 이걸 나눠주는 곳이 NIC(Networt Information Center)이다. IP주소는 32자리 2진수, 즉 8byte로 구성되어있다. IP주소는 네트워크부분과 호스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주소를 표현하기 위한 부분과 호스트 주소를 표현하기 위한 부분으로 나뉜다. 당연히 네트워크 주소를 표현하는 부분이 길어질수록 그 네트워크에는 적은 수의 호스트만을 할당할 수 있다.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의 길이에 따라 클래스A부터 클래스E로 네트워크 주소를 분류할 수 있다. D와 E는 멀티캐스트용, 연구용으로 사용하는 주소라서 일상적으로 우리가 접하는 IP주소는 A~C클래스 중 하나이다. PC, .. 2022. 2. 2.
4. 라우터 [라우터란?] 라우터는 스위치가 못하는 보안기능(패킷 필터링 기능), 로드 분배기능, 트래픽의 순서를 상황에 맞추어 정해주는 QoS(Quality of Service)기능도 있지만 핵심은 스위치가 못하는 "브로드캐스트 영역의 분할"이 가능하다는 것! 라우터는 한쪽은 내부 네트워크에(스위치 등), 한쪽은 외부 네트워크에(인터넷) 연결된다. 내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부분을 이더넷 인터페이스라고 부르며, 인터넷과 연결되는 부분을 시리얼 인터페이스라고 부른다.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하나가 아닐 수도 있다. 각 인터페이스에는 IP주소가 부여되어야 한다. 이때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내부 네트워크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부여받은 내부 PC용 IP중 하나를 이용하여야 한다. 반면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2022. 2. 2.
2. 네트워크 장비(랜카드, 허브, 브리지, 스위치) [랜카드란?] 네트워크를 위해 필요한 부품으로, 랜카드는 기기마다 종류가 다르며 속도별로도 구분할 수 있다. [허브란?] 허브는 Multiport Repeater이다. 즉 포트가 여러개인, 들어온 신호를 다시 내보내주는 장치이다. 신호가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포트에 신호를 전달한다. CSMA/CD의 적용을 받기에 Collision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허브로 연결된 PC들은 하나의 Broadcast domain은 물론이요, 하나의 Collision domain 안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여러 PC를 네트워크에 연결시켜준다는 기능이 있지만, PC가 연결될수록 데이터 전송속도가 낮아지며 Collision domain이 점점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브리지란?] 브리지는 허브보다 한 수 높은 장.. 2022. 2. 2.
1. 네트워크 기본지식 [LAN vs WAN] LAN: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한정된 공간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는 것. WAN: Wie Area Network의 약자로, 멀리 떨어진 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는 것. [Ethernet이란?] 이더넷은 네트워크를 만드는 한 방식. 가장 큰 특징은 CSMA/CD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을 한다는 것. CSMA/CD란 Carrier Sense Multiple Acess/Collision Detection의 약자로, 현재 통신중인지를 감지하고, 다중접속/충돌을 감지한다는 뜻이다. 거칠게 표현하자면 '대충 알아서 눈치로 통신하자'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이더넷 환경에서 클라이언트는 우선 현재 네크워크상에 통신이 일어나고있는지를 확인한다. .. 2022.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