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 archive/네트워크와 서버

4. 라우터

by Hush 2022. 2. 2.


[라우터란?]
라우터는 스위치가 못하는 보안기능(패킷 필터링 기능), 로드 분배기능, 트래픽의 순서를 상황에 맞추어 정해주는 QoS(Quality of Service)기능도 있지만 핵심은 스위치가 못하는 "브로드캐스트 영역의 분할"이 가능하다는 것!
라우터는 한쪽은 내부 네트워크에(스위치 등), 한쪽은 외부 네트워크에(인터넷) 연결된다. 내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부분을 이더넷 인터페이스라고 부르며, 인터넷과 연결되는 부분을 시리얼 인터페이스라고 부른다.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하나가 아닐 수도 있다.
각 인터페이스에는 IP주소가 부여되어야 한다. 이때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내부 네트워크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부여받은 내부 PC용 IP중 하나를 이용하여야 한다. 반면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인터넷과 연결되는 부분이고, 이곳의 IP는 외부 업체에서 부여하는 것이다. 이때 상대 라우터와는 같은 네트워크 소속이어야 하며, 그렇기에 서브넷 마스크도 상대 라우터와 같아야 한다.
라우터는 네트워크를 구분한다. 즉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통신할 수 있는 호스트들은 같은 네트워크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같은 Broadcast domain에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라우터에 대해 좀 더 알아보자. 라우터는 지능을 가진 경로 배정기이며, 외부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를 스스로 찾아준다. 이를 위해선 사전 세팅이 필요하고 그 세팅은 직접 해주어야한다.
라우터는 두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경로결정과 스위칭이다. 경로결정은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 어떤 길로 가는것이 가장 적절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경로결정, 길이 결정되면 그쪽으로 데이터 패킷을 보내는걸 스위칭이라고 한다.
라우터는 어떻게 가장 좋은 길을 찾는 것일까? 라우터는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해 가장 좋은 길을 찾으며, 이를 위해서 라우팅 테이블이라는 것을 만들어서 관리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라우터는 PC처럼 CPU, 메모리, 인터페이스, 전용 소프트웨어등을 가지고 있다.
라우팅 알고리즘은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한다. 라우티드 프로토콜이라는 말과 헷갈리면 안되는데, 라우티드 프로토콜은 라우팅의 도움을 받아 전달되는 프로토콜이다. TCP/IP, IPX, AppleTalk등 배운 대부분의 프로토콜은 라우팅의 대상이 되는 라우티드 프로토콜이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어디로 가려면 어떤 길로 가야하는지가 적혀있으며, 라우팅 테이블은 라우터의 파워가 꺼지면 다 날아가고 켜지면 다시 만들어진다.
AS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AS(Autonomous System)이란 한 네트워크 관리자의 관리를 받는 라우터 집단으로써 라우터들은 자신이 속한 AS내의 정보만을 알고있다. ASBR(AS Boundary Router) AS의 문지기 라우터로써, 데이터가 AS밖으로 나갈땐 ASBR을 거쳐야한다. ASBR은 자신과 인접한 타 AS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AS 내부에서 쓰이냐 외부에서 쓰이냐에 따라 나뉠 수 있다. IRP/IGP는 AS내부에서 쓰는 라우팅 프로토콜이고, ERP/EGP는 AS외부와의 통신에 쓰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