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넷 마스크에 대해]
큰 네트워크를 원하는 대로 나누어 사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서브넷 마스크이다. 기존에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어져있는 IP주소에서, 호스트부분의 일부를 네트워크부분처럼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세분화하는 방식이다. 세브넷 마스크도 엄연히 하나의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서브넷 마스크간의 통신은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서브넷 마스크 내에서 할당 가능한 PC의 수는 2^호스트자리수 - 2 개이다. 두개의 주소를 빼주어야하는 이유는 00.00.00.00과 FF.FF.FF.FF는 네트워크주소, 브로드캐스트주소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VLAN 기능이란?]
Virtual LAN기능은 네트워크별로 스위치를 두고 각 스위치를 라우터의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연결하는 방식의 귀찮음을 없애어, 한 스위치를 라우터와 연결했을 때, 그 스위치가 여러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그렇다고 해서 여러 네트워크가 합쳐진다거나, 스위치가 네트워크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은 절대 아님. 그저 하나의 스위치, 하나의 연결선이 여러개의 스위치, 여러개의 연결선처럼 작동한다는 것.
VLAN이 구성된 스위치를 VLAN 구성된 또다른 스위치나 라우터와 연결하려면 Trunk를 이용해야 한다. Trunking이란 여러 VLAN을 한번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패킷에 VLAN정보를 함께 전달하는 방식이다. 당연히 이렇게 해야 이게 어느 네트워크 패킷인지 구분할 수 있겠지?
VTP란 VLAN Trunking Protocol로, 여러 스위치들간에 VLAN 정보를 서로 주고받아 스위치들이 가지고 있는 VLAN정보를 항상 일치시키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VLAN기능을 이용하려면 라우터도 이를 지원해야함. 구체적으로는 라우터의 인터페이스가 Fast Ethernet이며, VLAN기능을 지원해야 한다. 이 경우 라우터의 한 인터페이스는 서브 인터페이스로 분리될 수 있으며, 각 서브인터페이스가 각 VLAN과 연결된다.
'📁study archive > 네트워크와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 (0) | 2022.02.02 |
---|---|
5. IP(IPv4, IPv6) (0) | 2022.02.02 |
4. 라우터 (0) | 2022.02.02 |
3. 루핑과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0) | 2022.02.02 |
2. 네트워크 장비(랜카드, 허브, 브리지, 스위치) (0) | 2022.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