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란]
AP(Access Point)란 유선과 무선의 경계에 있는 장치로 한쪽은 유선과, 한쪽은 무선과 통신한다. CSMA/CA라는, 유선보단 조금 더 조심스러운 방식을 사용해서 통신한다.
[무선랜의 두가지 구성모드]
1. Ad Hoc 모드
AP없이 PC끼리 무선 랜카드만으로 통신한다. 임시 방편같은 느낌이며 요즘은 거의 안쓴다.
2. Infrastructure 모드
AP를 이용한 통신이다. PC는 AP에게, AP는 다른 PC에게 데이터를 전달해준다.(AP가 허브처럼 작동하는 느낌)
A. BSS(Basic Service Set)
AP한대로 무선랜을 구성하는 방식이며 일반 가정 등에서 사용한다.
B. ESS(Extended Service Set)
AP여러대로 무선랜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주파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비중첩 채널을 사용해야 한다.
[SSID란]
SSID란 Service Set IDentifier 이란 뜻으로, Service Set에서 서로를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ID가 SSID.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이름으로써,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쓰는 모든 무선 장비들은 동일한 SSID를 가져야 한다.
기볹거으로 100m마다 브로드캐스트되는데, 이 기능을 disable하면 미리 SSID를 아는 장비만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SSID Cloacking'이라고 한다.
'📁study archive > 네트워크와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서브넷 마스크와 VLAN (0) | 2022.02.02 |
---|---|
5. IP(IPv4, IPv6) (0) | 2022.02.02 |
4. 라우터 (0) | 2022.02.02 |
3. 루핑과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0) | 2022.02.02 |
2. 네트워크 장비(랜카드, 허브, 브리지, 스위치) (0) | 2022.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