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 vs WAN]
LAN: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한정된 공간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는 것.
WAN: Wie Area Network의 약자로, 멀리 떨어진 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성한다는 것.
[Ethernet이란?]
이더넷은 네트워크를 만드는 한 방식. 가장 큰 특징은 CSMA/CD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을 한다는 것.
CSMA/CD란 Carrier Sense Multiple Acess/Collision Detection의 약자로, 현재 통신중인지를 감지하고, 다중접속/충돌을 감지한다는 뜻이다. 거칠게 표현하자면 '대충 알아서 눈치로 통신하자'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이더넷 환경에서 클라이언트는 우선 현재 네크워크상에 통신이 일어나고있는지를 확인한다. 즉 캐리어가 있는지를 감지한다. 이것을 바로 Carrier Sense라고 한다. 이때 만약 캐리어가 감지되면 기다린다 그러다 캐리어가 사라지면 자기 데이터를 네트워크상에 실어서 보낸다.
이때 나 말고 다른 PC도 데이터를 보낼 수도 있지 않은가? 이 경우를 Multiple Access라고 한다. 이렇게 되면 Collision이 발생한 것이다. 이렇게 Collision이 발생하게 되면 데이터를 전송했던 클라이언트들은 랜덤한 시간동안 기다린 후 다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CSMA/CD라고 한다. 이 방법이 만능은 아니다. 데이터를 보내고 싶은 클라이언트들이 과도하게 많아지면 너무 많은 충돌이 발생하여 네트워킹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토큰링이란?]
이더넷처럼 네트워킹의 한 방식인데, 요즘은 잘 안쓴다. 토큰이 있는 PC만이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만약 자신이 토큰을 가지고있는데 데이터를 보낼 생각이 없으면 옆 클라이언트에게 토큰을 넘긴다.
[UTP케이블이란?]
Unshielded Twisted-Pair 케이블이다.
종류에 따라 최대길이, 통신속도 등이 상이하다.
[MAC Address란?]
통신에 쓰는 주소로, 랜카드에 부여된다.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부여되는 것이기에 특정 랜카드와 MAC Address가 동일한 또다른 랜카드란 존재할 수 없다. 6 octet으로 이루어져 3 octet은 제조사 코드, 3 octet은 일련 번호를 담당한다.
MAC Address는 어떻게 쓰일까? 한 PC가 다른 PC에 접근하고 싶어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한 PC가 네크워크에 연락하고 싶은 PC의 IP주소를 broadcast하면 그 IP를 가진 PC가 자신의 MAC Address를 알려준다. 만약 그 PC가 라우터로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에 있다면 라우터는 자신의 MAC Address를 알려주고, 옆 네트워크에 통신을 전달한다.
[Unicast, Multicast, Broadcast란?]
-Unicast
자신의 MAC Address와 도착지의 MAC Address로 프레임을 구성하는 통신방식이다. 한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고 싶을 때 쓰는 방식이다. 한 PC가 Unicast를 하면 각 PC들의 랜카드가 Unicast의 MAC Address와 자신의 MAC Address을 비교하고, 같으면 CPU로 올려보낸다. 네트워크에 Unicast가 많아져도 각 PC들의 CPU에는 부하가 가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자.
-Broadcast
도착지의 MAC Address로 FFFF.FFFF.FFFF를 적어 보내는 통신이다. 모든 PC에게 통신하기 위한 방법이다. BroadCast를 감지한 랜카드는 프레임을 CPU로 올려보낸다. 네트워크에 Broadcast가 많아지면 CPU에 부하가 심해진다.
-Multicast
한명도, 전부도 아닌 특정한 여러명에게 통신을 보내는 방식이다. IPv4에서 IPv6로 넘어오면서 특히나 강점을 보이는 통신방식이다.
[Protocol이란?]
규약, 협약이라는 뜻인데 컴퓨터끼리는 프로토콜이 서로 같은 것끼리만 통신이 가능하다. 인터넷에서 쓰는 프로토콜이 바로 TCP/IP이며, 이외에도 IPX, AppleTalk 등이 있다.
[DHCP란?]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는 IP를 관리하는 방식의 하나로 사용되는 서버이다. PC마다 고유의 IP를 항상 가지고있는게 아니라, DHCP가 확보하고 있다가 PC가 켜지며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를 뿌리면 그때 IP주소 중 하나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PC가 꺼지면 IP주소를 회수한다. 요즘엔 거의 일반화되어있는 기술이다.
'📁study archive > 네트워크와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서브넷 마스크와 VLAN (0) | 2022.02.02 |
---|---|
5. IP(IPv4, IPv6) (0) | 2022.02.02 |
4. 라우터 (0) | 2022.02.02 |
3. 루핑과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0) | 2022.02.02 |
2. 네트워크 장비(랜카드, 허브, 브리지, 스위치) (0) | 2022.02.02 |
댓글